베트남 성(姓)씨


베트남 성(姓)씨

세계성씨연맹본부 0 745

                

동남아시아 지역에선 전통적인 姓씨는 없다. '미얀마(버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지역과 열대 산악 소수민족들은 성씨를 사용하는 관습 자체가 없다. 태국이나 필리핀, 라오스등은 성씨를 만들기는 했으나 외세나 외래 문화의 영향을 받아 흡수되거나 소멸됐다. 단지 베트남만 강력한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일찍부터 성명문화를 독자적으로 지녔다. 신, 구당서에 의하면 7세기 후반경 당唐나라가 지금의 하노이河內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면서부터 中國式 姓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그런후 1428년 여조黎朝가 현 베트남 북부지역에(李왕조) 율령제를 정비하면서 주자학을 유행시키면서 성명사용 문화도 정착되게 되었다고 역사는 쓰고 있다.


베트남(월북,월남)인들의 성명姓名은 대체로 '성+중간명+개인명' 등 3부분으로 구성된다. 월남에서 소수민족들을 제외하면 약 200여종이 되는데 그중에 '완阮, 여黎, 진陣'씨 성을 가진 인구가 전인구의 70%나 차지한다. 이런 초대성超大姓의 분포는 전체인구의 1억명 중에 북부인구의 68%, 남부 인구의 50%나 차지한다. 


베트남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성씨인 ‘응우옌(阮)’은 응우옌 왕조(Nhà Nguyễn)에서 비롯된 성씨로 베트남인 다섯명 중 두 명(38.4%, 대략 3,700만명)이 응우옌 씨다. 


그러면 왜 베트남에서는 응우옌씨가 그토록 많을까? 


1) 첫번째 이유로는 역사적 연유이다. 중국의 남북조 시대(420~589)의 대혼란을 피해 중국 남부 지역에 살던 응우옌씨들이 베트남으로 옮겨와 정착했다. 


2) 역사적으로 왕조가 바뀔 때마다 지난 왕조의 성씨를 지닌 사람들이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응우옌씨로 바꾸었다. 1226년 리 왕조가 멸망했을때 리씨들이 그랬고, 1407년 호胡왕조가 무너졌을 때는 호씨들이 그랬으며, 1592년 막莫왕조가 붕괴했을 때는 막씨들이, 1802년 베트남 최후 응우옌 왕조가 들어섰을 때는 이전 왕조인 찐鄭씨들이 성을 응우옌으로 바꿨다. 그리고 후기 응우옌 왕조가 마지막 왕조가 되면서 더 이상 성씨를 바꿀 필요가 없게 되자 베트남 전역에 응우옌 성씨가 넘쳐나게 됐다는 설명이다.


3) 완阮조 이전의 여조黎朝때 정鄭씨 성을 가진 가신들이 귀속의 뜻으로 완씨로 성을 바꿨다(阮씨=鄭씨). 


응우옌 왕조의 수도였던 베트남 중부 도시 후에(Huế)에는 아직도 ‘응우옌’이라는 표현이 곳곳에 눈에 뛴다.


완씨阮성은 고대 중국의 나라 이름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즉 지금의 섬서성 서안의 북서부 지역에 있는 경천涇川지역에 있던 고대 나라명을 차용 한것이라고 하나 사실적 근거는 없다. 완씨는 유명한 인물을 다수 배출했는데 '지각자知覺者'란 뜻으로 유명한 호지명胡志明(호치민)의 본명 '완애국阮愛國'을 비롯해 대통령 완문소, 부통령 완고기가 있고, 민족 해방전선 여성활동가 완씨평阮氏平이 있다.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쩐陳’은 1225년부터 1400년까지 약 200년간 베트남을 통치했던 쩐 왕조(Nhà Tràn)에서 비롯된 성씨이다. 쩐까인(Tran Canh)이 세운 쩐 왕조는 베트남 일대를 지배했으며, 지금의 하노이 위치인 승룡(Thăng Long)에 수도를 정했다. 쩐 왕조의 왕족인 쩐흥다오(Tran Hưng Ðao) 장군은 3차에 걸친 몽골의 침략을 격퇴하여 베트남 내에서 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과 같은 칭송을 받고 있다.

                                                       

‘레李’는 레왕조(Nhà Le)로부터 비롯되었다. 레왕조는 크게 ‘전기 레왕조’와 ‘후기레 왕조’로 나뉜다. 레 호안(Le Hoan)이 세운 전기 레 왕조(980~1009)는 30년이 채 되지 않은 시기만을 통치한 단기短期 왕조이며, 후기 레 왕조(1428∼1789)는 레 러이(Le Lơi)가 중국 명나라의 세력을 몰아내고 세운 왕조입니다.


여黎씨성은 여리黎利가 여黎씨 왕조를 세울때 큰 공을 세운 신하 221명에게 姓과 벼슬을 내리면서 여씨성이 많이 생겨 났다.


완씨, 여씨, 진씨 이외에 '황黃, 오吳, 이李, 장張, 반潘, 무武'등의 성씨가 있는데 이런 성씨들은 중국의 동화정책에서 생겼다.


문제는 특정 성씨가 너무 많아서 일상생활에서도 혼란이 자주 발생한다는 것이다. 베트남 인들도 한국인이나 중국인들 처럼 유교사상에 기초한 '일족서열을 나타내는 항렬자'를 ㅤㅆㅓㅅ으나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다. 남성들은 대부분 학문을 뜻하는 문文를, 여성들은 부계父系를 뜻하는 씨氏를 중간자로 쓴다. 이는 일본에서 끝자로 남자는 로우郞를 여자는 꼬子를 쓰는 경우의 닮은 꼴이다. 


그리고 응우옌 성씨가 많다보니 이름이 같은 남녀가 한 장소에 있을 경우 가운데 이름까지 넣어서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응우옌 빈이라는 남성과 응우옌 빈이라는 여성이 함께 있다면 중간이름을 합해 여성은 '티 빈' 남성은 '반 빈'으로 부른다. 성과 이름까지 흔한 경우에는 아예 중간 이름만을 부르기도 한다. 예컨대 팜 투이 짱(Pham Thuy Thang)인 경우 성씨와 이름이 모두 흔하기 때문에 투이(thuy)라는 중간이름을 부르는 식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범 아랍권 성(姓)씨

댓글 0 | 조회 313
아랍은 언어와 문화에 의한 구분이고, 무슬림은 종교에 의한 구분이며, 중동은 지정학적 구분이다.1. 범아랍권 姓씨 作名法이름이 지닌 정체성 표지의 기능은 다양한 가치관과 세계관, … 더보기
Now

현재 베트남 성(姓)씨

댓글 0 | 조회 746
동남아시아 지역에선 전통적인 姓씨는 없다. '미얀마(버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지역과 열대 산악 소수민족들은 성씨를 사용하는 관습 자체가 없다. 태국이나 필리핀, 라… 더보기

CS Center


042-337-1331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